2025 국민연금 인상, 언제부터 얼마나 오를까?
2025년 6월 현재, 국민연금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며 보험료율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국민연금이 오른다는데, 언제부터?", "나는 얼마나 더 내야 하지?", "정말 고갈이 될까?"라는 질문들이 많아졌죠. 이 글에서는 정부 발표, 주요 뉴스,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연금 인상 시기와 내용을 정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먼저 알아두기: 국민연금 인상, 왜 필요할까?
2023년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에 따르면, 현재 제도가 유지될 경우 2055년에 연금기금이 고갈됩니다. 정부는 이 고갈을 막기 위해 보험료율 인상 및 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관련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재정추계 보도자료 바로가기]
📰 주요 뉴스 요약: 2025년 국민연금 인상 관련 기사
- KBS 뉴스 (2025.05.22) – “국민연금 보험료, 최대 15%까지 인상 유력”
- 한겨레 (2025.06.10) – “국민연금 개편 초안, 2026년 시행 가능성”
- 서울대 팩트체크센터 – ‘국민연금 고갈은 사실인가?’
📅 인상 시기: 언제부터 적용되나?
보건복지부가 2025년 3월 발표한 개편 초안에 따르면, 2026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보험료율을 인상하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아직 국회 법 개정 절차가 남아 있지만, 여야가 모두 연금개편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2025년 하반기 입법 → 2026년 시행 가능성이 높습니다.
📊 국민연금 인상 내용 요약 (표 정리)
항목 | 현재 (2024년) | 개편안 (2026년~) |
---|---|---|
보험료율 | 9% | 최대 15% (단계적 인상) |
시행 시기 | - | 2026년 1월부터 |
기금 고갈 예상 | 2055년 | 최대 2065년까지 연장 가능 |
소득대체율 | 40% | 43~45%로 확대 논의 중 |
💸 내 월급에서 얼마나 더 빠질까? 실제 납입액 변화 예시
월 소득이 400만 원인 직장인의 경우, 보험료율 인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납입 금액이 늘어납니다.
- 2024년: 400만 × 9% = 36만 원 (본인 18만 원, 사업주 18만 원)
- 2026년: 400만 × 12% = 48만 원 (본인 24만 원, 사업주 24만 원)
- 2030년: 400만 × 15% = 60만 원 (본인 30만 원, 사업주 30만 원)
즉, 2026년부터는 한 달에 6만 원 이상 추가 부담이 생기며, 점진적으로 더 오르게 됩니다.
✅ 국민연금 인상 전후 납부금액 비교표 (단위: 원)
월급/소득 (만원)직장인 본인 부담 (9%)직장인 본인 부담 (15%)직장인 추가 부담사업주 부담 (9%)사업주 부담 (15%)사업주 추가 부담자영업자 부담 (9%)자영업자 부담 (15%)자영업자 추가 부담
100 | 45,000 | 75,000 | 30,000 | 45,000 | 75,000 | 30,000 | 90,000 | 150,000 | 60,000 |
150 | 67,500 | 112,500 | 45,000 | 67,500 | 112,500 | 45,000 | 135,000 | 225,000 | 90,000 |
200 | 90,000 | 150,000 | 60,000 | 90,000 | 150,000 | 60,000 | 180,000 | 300,000 | 120,000 |
250 | 112,500 | 187,500 | 75,000 | 112,500 | 187,500 | 75,000 | 225,000 | 375,000 | 150,000 |
300 | 135,000 | 225,000 | 90,000 | 135,000 | 225,000 | 90,000 | 270,000 | 450,000 | 180,000 |
350 | 157,500 | 262,500 | 105,000 | 157,500 | 262,500 | 105,000 | 315,000 | 525,000 | 210,000 |
400 | 180,000 | 300,000 | 120,000 | 180,000 | 300,000 | 120,000 | 360,000 | 600,000 | 240,000 |
450 | 202,500 | 337,500 | 135,000 | 202,500 | 337,500 | 135,000 | 405,000 | 675,000 | 270,000 |
500 | 225,000 | 375,000 | 150,000 | 225,000 | 375,000 | 150,000 | 450,000 | 750,000 | 300,000 |
550 | 247,500 | 412,500 | 165,000 | 247,500 | 412,500 | 165,000 | 495,000 | 825,000 | 330,000 |
600 | 270,000 | 450,000 | 180,000 | 270,000 | 450,000 | 180,000 | 540,000 | 900,000 | 360,000 |
650 | 292,500 | 487,500 | 195,000 | 292,500 | 487,500 | 195,000 | 585,000 | 975,000 | 390,000 |
700 | 315,000 | 525,000 | 210,000 | 315,000 | 525,000 | 210,000 | 630,000 | 1,050,000 | 420,000 |
📌 해석 예시
- 직장인 월급 300만 원일 경우
- 기존엔 본인이 135,000원 내고, 회사도 135,000원 부담 (총 270,000원)
- 개편 후엔 본인 225,000원, 회사도 225,000원 (총 450,000원)
- → 본인과 회사 모두 월 90,000원씩 추가로 내야 함
- 사업자(자영업자) 월 순소득 700만 원일 경우
- 현재 납입액: 630,000원
- 개편 후 납입액: 1,050,000원
- → 월 420,000원 인상
📺 관련 영상으로 쉽게 이해하기
📌 국민의 반응은 엇갈려
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 찬성: “더 내더라도 나중에 더 받는 게 낫다” – 53%
- 반대: “가계 부담이 너무 크다” – 36%
- 중립/보류: “구체적 계획 나와야 판단 가능” – 11%
정부는 이를 고려해 저소득층에 대해선 보험료 지원 및 세액공제 확대도 함께 추진할 예정입니다.
🧾 정리: 국민연금 인상 핵심 포인트
- 시기: 2026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될 가능성 높음
- 보험료율: 현재 9% → 최종 15%까지
- 고갈 시점 10년 이상 늦추는 효과
- 국민 부담 증가에 대한 보완책 병행 논의
- [내 연금 예상액 계산 바로가기 – 국민연금공단]
📍 마무리
국민연금은 우리의 노후를 지탱하는 핵심 제도입니다. 변화가 예정된 지금, 자신의 납입 현황과 예상 수령액을 점검하고, 개인연금, 퇴직연금, IRP 등과 함께 균형 잡힌 노후 준비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한 분들은 아래 공식 사이트도 참고해보세요 👇